Skip to main content

Dang Dynasty of China was bordered at North Sea

La Chine s'etait situee au bord de la Mer du Nord et de la mer de l'Ouest, et partialement de la mer du Sud, comme la France.


북해에 접한 중국의 당(唐)나라


최근 당나라의 '안록산 사사명의 난'(755-763)을 연구하고 있는데, '안사의 난' 중에 당나라는 '북해절도사'를 임명한 것을 알게 되었다. '북해태수'(하란진명)도 임명된 것으로 보면 당나라가 북해에 접한 것으로 보인다. 혹자는 바이칼호를 북해로 본다는 주장을 하나, 당시 당나라는 그 지역까지 진출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북해절도사나, 북해 태수는 당나라 영역에 임명하는 직책이다.

그런데 안사의 난을 평정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한 회흘이란 위구르제국은 동돌궐이 망한 후 세워진 나라라 한다. 즉 북해위의 위치에 있는 나라인 것이다. 문무님은 북해 위에 나라가 또 있다는 것을 고려하여, 북해가 바다가 아닌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고 했지만, 필자가 추정하는 북유럽을 고려하면 북해위에 돌궐이나 회흘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필자는 두만강이 북해로 흐른다는 기록을 이성계의 조상, 이행리의 이야기에서 찾았다. (아래 글 참조)

https://blog.naver.com/lainfos/222968113723


요동에 있는 조선의 두만강이 북해에 이른다는 것은, 요서에 있는 중국이 북해에 접한 것과 궤를 같이 한다. 즉 같은 북해를 말하지 않나 한다.

필자는 중국이 또한 서해에 접했다고 추정했다. 북위의 효문제가 토욕혼의 왕에게 '서해개국공'이라는 직책을 주었기 때문이다. 중국은 서해에 접하고 북해에 접했다는 증거를 찾은 셈이다. (아래 글 참조)

https://blog.naver.com/lainfos/222342244934


그런데, 후한시기에 일본의 대마도는 대방군의 남쪽 바다 7-8천리에 떨어져 있다고 한 기록이 나온다. (아래 자료 참조)

https://blog.naver.com/lainfos/223198289088


이 기록은 중국의 일부 해안이 남쪽 바다에 접한 것을 말한다고 판단한다. 즉 중국은 서해, 북해에 접해 있고, 일부가 남해에 접한 모습이 된다. 필자가 추정하는 프랑스지역과 완벽히 일치하는 지형이다.

그러나 현 중공의 모습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다. 현재의 중공은 북해, 서해, 남해가 없고, 유일하게 동지나해만 있을 뿐이다. 역사 기록에서 요동땅은 많이 언급되었어도, 중국사에서 동해라는 언급은 전혀 없다. 오히려 요동쪽에 있던 고구려나 신라에서 동해가 언급된다. 즉 지금의 중공지역이 중국 역사의 지역이 아니라는 것이다. 지금의 중공이 주장하는 중국의 역사는 모두 가짜라는 것이다. 우리는 이제 중공지역을 전제로 한 중국역사에 매몰되는 일은 이제 그만두어야 할 때이다.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Yaksu river was in Sweden (약수는 스웨덴에 있었다)

  I. 머리말 지난 번 글에서 약수가 아시아에 있을 수 없다는 것을 지리적 요건을 근거로 추정했다. 이번 글에서는 그러면 실제 약수가 어디에 있는가에 대해 실질적으로 접근해 보고자 한다. 아래 지난 번 글에서 살펴 보았던 약수에 대한 자료를 재게한다. "같은 3세 가륵 단군조에 그런 흉노에 대한 언급이 있다. 바로 “가륵 단군 6년 (B.C 2177, 갑진) 열양(列陽)의 욕살 색정(索靖)에게 명해 약수(弱水)로 옮기게 하고 종신토록 갇혀있도록 했다. 뒤에 이를 용서하시고 곧 그 땅에 봉하니 그가 흉노의 시조(匈奴之祖)가 됐다”는 기록이다. ..... 욕살은 한 지방을 다스리는 벼슬로 지금으로 치면 도지사급으로 보인다. 그러다가 흉노를 다스리던 색정(索靖)의 후손으로 보이는 색불루(索弗婁)가 흉노의 우현왕이 됐다가 기원전 1286년 정변을 일으켜 조선의 22대 단군으로 즉위하고 그 후손들이 제위를 이어간다. 이렇듯 흉노는 조선의 제후인 동시에 조선 그 자체를 말하는 것이기도 하다. ‘ 사기 흉노열전’에 “흉노의 선조는 하후씨의 묘예인 순유다. 요순시대 있던 산융과 험윤과 훈죽이 북쪽을 살면서 목축하면서 떠돌아 다녔다”는 기록과 ‘산해경 대황북경’에 “견융과 하나라 사람은 같은 조상으로 모두 황제로부터 나온다”는 기록이 있다. 하나라 시조는 순임금 때 우사공(禹司空)으로 동이족이었다.  청나라 때 왕국유가 지은 ‘귀방·곤이·험윤고’에 “흉노의 명칭이 시대에 따라 바뀌었다. 은나라 때는 귀방(鬼方)·곤의(昆夷)·훈죽(獯鬻), 주나라 때는 험윤(獫狁), 춘추시기에는 융(戎)·적(狄)으로, 전국시기에는 호(胡)로 이 모두 후세에서 말하는 소위 흉노다”고 설명돼 있다..... 5세 대음단군 10년(B.C 1652, 기축) 기록에 “단제께서 서쪽으로 약수로 가시더니 신지 우속에게 명하여 금철 및 고유를 채취하도록 했다 (帝西幸弱手命臣智禹粟採金鐵及膏油)”는 기록에서 약수는 단군이 다스리던 땅이었으며 조선의 서쪽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자료 : 약수...

남북한의 평화를 위해서는...

 최근의 북한 압록강의 홍수에 대해 남한 당국이 적십자사를 통해 인도적 지원을 제의했다.  그동안의 대결적 자세와는 다소 다른 행동이다. 그래서 그런지 북한의 응답은 없고, 보도에 대한 불만만 말하고 있다. 현재의 정부는 대결하는 자세가 옳다고 믿는 모양이다. 힘으로 이기는 것이 옳다고 여긴다면 미국에 간청을 해서라도 핵무장을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미국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다. 여기에 힘의 논리의 한계가 있다.  그럼 북한의 전체주의적 독재형태의 체제를 인정하고 교류를 통해 미래를 기대할 수밖에 없다. 북한의 주민들은 이미 남한이 잘 살고 자유스러운 세상이라는 것을 삼척동자도 알 것이다. 유튜브나 방송을 통해 이미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들이 외부와 접촉을 늘릴 수록 그러한 정보는 더욱 많이 북한에게 알려진다. 구태여 북한이 지극히 싫어하는 대북 전단 살포가 아니라도 방법은 많은 것이다. 그런데 전단 살포를 고집하고 이를 밀고 나가려는 고집을 알 수가 없다. 머리가 상당히 나쁜 정책당국자들이다.  체육교류나 문화교류, 나아가 경제교류가 그들을 더 열리게 할 것이다. 초기에는 다소 수헤적인 교류가 이루질 수 밖에 없다. 워낙 차이가 나는 경제이니 말이다. 그러나 미래를 위해 투자라 생각해야 한다. 북한 하나 통일하지 못하는 대한민국은, 대만을 통일한다고 전쟁까지 불사한다는 중공을 이길 수 없다.  언제 북한이 변할 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경기도와 강원도에 원전을 세우는 것도 미래를 대비한 투자이다. 북한지역의 전력공급을 위해서 말이다. 단지 발전소 보호 장치를 위한 투자가 이루져야할 것이다. 지금은 유럽에서도 원자력에너지의 중요성이 다시 인식되는 시기이다. 소형모둘 원전시설을 울릉도에 세우는 것도 미래를 위한 투자의 하나이다.   진정 시기를 잘 이용한 독일의 통일을 보고 배워야 할 것이다.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가 당선되면 남북한의 대치정국이 교류확대 방향으로 갈 수 있을 것이다. 해리...

Gogurye etait etabli en Europe Nord

Cet article est le resultat de trois mois de travail depuis Septembre 2023. Je pouvais completer grace aux meteriaux de Youtube je remercie pour leur publications. En meme temps, cet article represente mes idees de l'histoire Coreenne a partir de l'age neolithique. Bon courage de lire cet article long! L'article de l'adressse suivante(ecrit en Coreen):  Titre : 북부여를 계승한 고주몽이 고구려를 개국한 홀본지역은 어디인가? https://lainfos.tistory.com/419